카테고리 없음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출퇴근 재해)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게 된 헌법재판소 결정 [김태중 변호사]

김태중 2022. 7. 18. 20:20

출퇴근재해는 산업재해보상의 업무상재해

 

회사에서 제공하는 출퇴근 통근버스 등을 이용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근로자가 출퇴근 도중에 교통사고 등을 당했을 때 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것은 지금은 너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출퇴근 재해도 몇 년 전까지는 반드시 인정되는 것은 아니었으며,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거쳐 인정된 것입니다. 출퇴근 재해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게 된 계기가 된 헌법재판소 결정을 한번 보겠습니다.

 

 

산업재해보상법(2022년 현재 기준)

37(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부상질병 또는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하면 업무상의 재해로 본다. 다만,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출퇴근 재해

가.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나. 그 밖에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출처 : 헌법재판소 2014헌바254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제1항 제1호 다목 등 위헌소원 (출퇴근 재해 사건)

 

 

도보나 자기 소유 교통수단 또는 대중교통수단 등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산업재해보상보험(이하 산재보험이라 한다) 가입 근로자(이하 비혜택근로자라 한다)는 사업주가 제공하거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산재보험 가입 근로자(이하 혜택근로자라 한다)와 같은 근로자인데도 사업주의 지배관리 아래 있다고 볼 수 없는 통상적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던 중에 발생한 재해(이하 통상의 출퇴근 재해라 한다)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별취급이 존재한다.

 

산재보험제도는 사업주의 무과실배상책임을 전보하는 기능도 있지만, 오늘날 산업재해로부터 피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는 기능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그런데 근로자의 출퇴근 행위는 업무의 전 단계로서 업무와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사실상 사업주가 정한 출퇴근 시각과 근무지에 기속된다. 대법원은 출장행위 중 발생한 재해를 사업주의 지배관리 아래 발생한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데, 이러한 출장행위도 이동방법이나 경로선택이 근로자에게 맡겨져 있다는 점에서 통상의 출퇴근행위와 다를 바 없다. 따라서 통상의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여 근로자를 보호해 주는 것이 산재보험의 생활보장적 성격에 부합한다.

 

사업장 규모나 재정여건의 부족 또는 사업주의 일방적 의사나 개인 사정 등으로 출퇴근용 차량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지원받지 못하는 비혜택근로자는 비록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하더라도 출퇴근 재해에 대하여 보상을 받을 수 없는데, 이러한 차별을 정당화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

 

통상의 출퇴근 재해를 산재보험법상 업무상 재해로 인정할 경우 산재보험 재정상황이 악화되거나 사업주 부담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은 보상대상을 제한하거나 근로자에게도 해당 보험료의 일정 부분을 부담시키는 방법 등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반면에 통상의 출퇴근 중 재해를 입은 비혜택근로자는 가해자를 상대로 불법행위 책임을 물어도 충분한 구제를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고, 심판대상조항으로 초래되는 비혜택근로자와 그 가족의 정신적·신체적 혹은 경제적 불이익은 매우 중대하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은 합리적 이유 없이 비혜택근로자를 자의적으로 차별하는 것이므로,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배된다.

 

 

이렇게 헌법불합치결정이 나왔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개정되었는데, 부칙에서 개정 법률조항은 개정법 시행 후 최초로 발생하는 재해부터 적용하도록 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개정법 시행일 전에 출퇴근 재해를 당한 근로자는 혜택에서 제외되게 되었던 것인데, 이번에는 그래서 그 적용범위가 문제되었습니다.

 

 

출처 : 헌법재판소 2018헌바218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37조 제1항 제3호 등위헌소원 (출퇴근 재해 불소급 사건)

 

 

심판대상조항이 신법 조항의 소급적용을 위한 경과규정을 두지 않음으로써 개정법 시행일 전에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당한 비혜택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은, 산재보험의 재정상황 등 실무적 여건이나 경제상황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차별을 정당화할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이 사건 헌법불합치결정의 취지에도 어긋난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은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반된다.

 

김태중 변호사 카카오톡 채널